목록모음/키워드로 읽는 이슬람 (5)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에디터의 노트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지도 한 달이 넘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사이 또 다른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의해 카불 공항이 폭탄 테러에 휩싸이는 일도 있었는데요. 여전한 아프간 사회의 불안과 국제 사회의 눈총 속에서도 탈레반은 기어이 과도정부를 구성해 발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탈레반 정부에 대한 제재나 인정과는 별개로 이젠 그들을 국제 사회 안에서 사고해야 하는 현실적 필요를 맞닥뜨리고 있는데요. 똑똑 리포트 마지막 화에서는 오늘날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 정세를 이해하는 데 도움 될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현상 IS의 카불 공항 테러,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지난달 26일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또 한 번의 충격적인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바로 극단..

에디터의 노트 지난 화에서 이슬람 무장단체의 사상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근본주의'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이어서 탈레반이 자행하는 인권 유린 행태의 근거를 찾아봅니다. '이슬람 율법의 틀 안에서' 국가를 운영한다는 탈레반의 말은 신뢰할 수 있는 걸까요? 알라는 정말 무슬림에게 차별과 탄압을 가르친 걸까요? 현상 혼돈의 아프간, 사라진 여성 인권 20년 만의 탈레반 재집권으로 아프가니스탄은 깊은 혼돈에 빠져 있습니다. 지난 8월 탈레반은 수도를 장악한 뒤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이슬람 정부"를 구성하고 "이슬람 율법이 보장하는 범위에서 여성 인권을 최대한 존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그로부터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한 젊은 여성이 탈레반의 총격으로 사망했습니다. 부르카를 입지 않고..

에디터의 노트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을 둘러싼 탈레반, IS 등 이슬람 무장단체 이슈에서 이런 표현 많이 보셨을 겁니다. 그들의 인권 탄압 및 폭력 행위는 이슬람 '근본주의'를 토대로 한 원리·원칙적 교리 해석을 바탕으로 한다고요. 이른바 이슬람 교리를 깐깐하게 적용한 결과라는 건데요. 이 말은 진실일까요? 먼저 근본주의란 무엇인지, 또 어떤 배경으로 무엇을 추구하는 움직임인지부터 살펴봅니다. 배경 근본주의의 출현 근본주의(원리주의)는 근대화에 대응해 일어난 전 지구적 종교 현상입니다. 꼭 이슬람에 국한하지 않습니다. 기독교나 유대교에서도 발견할 수 있죠. 근본주의(Fundamentalism)라는 말이 처음 탄생한 것은 1차 세계대전 직후인 1920년대 미국 기독교입니다. 전쟁의 참혹함과 폭력성 그리고 여전..

에디터의 노트 지난 화에서 이슬람은 단지 종교적 신념을 넘어 이를 따르는 국가와 사회의 행동 준거가 된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슬람의 주요 교리를 이해하는 일은 이슬람 국가와 무슬림들의 사고 및 행동방식을 파악하는 일과 다르지 않은데요. 과연 그들은 어떤 가치관을 공유하고 행동하는지 그 의미와 체계를 살펴봅니다. 배경 이슬람의 구원관과 종교관 이슬람의 신자인 무슬림은 일생 동안 알라의 가르침을 실천하기 위해 스스로의 투쟁을 이어갑니다. 이를 '지하드'(Jihad)로 부르는데요. 흔히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의 입에 곧잘 오르내려 종교적 전쟁인 성전(聖戰)의 의미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지하드는 단지 이슬람 세력 확장을 위한 물리적 전쟁만을 뜻하는 표현은 아닙니다. 대다수 무슬림 학..

에디터의 노트 이슬람은 오늘날 19억명의 신자를 보유한 거대 종교입니다. 25억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교 인구를 차지하는 기독교의 다음 가는 숫자죠. 게다가 이슬람은 종교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는 신정일치의 사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슬람은 종교적 신념을 넘어 이를 따르는 국가, 사회의 행동 및 구성 원리로도 볼 수 있는데요. 변치 않는 종교적 가르침 아래 오늘날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이슬람의 태동은 어땠고 그 배경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배경 사회 구성 원리로서 종교의 기능 이슬람이라는 거대한 사회이자 종교를 살펴보기에 앞서 종교가 사회 체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환기하고자 합니다. 종교는 관습, 도덕, 법과 함께 사회 구성원의 사고와 행위 양식을 이끄는 사회 규범이지만 때로 직접적으로 사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