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계정세 (63)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정치/사회 > 정치/외교 > 외교/국제관계 > 동북아국제관계 한국의 중국연구를 대표하는 학자 가운데 하나인,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서진영 교수가 10년만에 묵직한 연구서 을 출간했다. 특히, 이 책의 중심적 주제가 부강한 중국의 등장이 세계 정치 무대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지, 한반도에는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규명해 보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서진영 교수는 10년간 이 주제에 대한 강의와 세미나를 진행했으며, 홈페이지 http://www.eastasianstudies.org/index.html을 통해 학생들과 꾸준히 학문적 교류를 해왔다. 이 책은 그러한 학문활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3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의 제1부에서는 중국 대외정책의 이론과 전략을..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정치/사회 > 정치/외교 > 각국정치 > 중국정치 정치/사회 > 대학교재 > 정치학 대학교재 > 정치/사회/법 > 정치학 중국 외교노선의 변화를 추적하여 살펴보는 『중국 외교노선과 정책』. 이 책은 사회주의 중국 출범 이후인 마오저둥 시기부터 덩샤오핑, 쟝저민, 현 후진타오시기까지의 외교노선과 주요 정책들을 통해 중국 외교의 연속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동아시아지역에서 강대국으로서의 이미지 구축과 함께 지역강대국으로서의 역할강화를 천명하고 있는 중국을 조명하며, 중국 외교의 미래를 예측한다. 저자소개 저자 : 김옥준 목차 ■ 서문 제1부 중국 외교정책 분석의 이론적 접근 제1장 중국 외교정책 분석을 위한 연구 제2장 중국 외교정책연구 접근방법 제2부 개혁개방 이전의 중국 ..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정치/사회 > 정치/외교 > 외교/국제관계 > 외교학 정치/사회 > 정치/외교 > 각국정치 > 중국정치 이 책은 중국 외교정책의 역사, 중국의 정책 수행과 관련하여 변화하는 기회와 위험, 미래 중국 정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대내외적 요인들을 소개하고 있다. 목차 서론 새로운 이데올로기 대중화제국 칼 마르크스에 대한 아담 스미스의 승리 소련제국의 붕괴 중미관계 탈냉전시대 중국과 주변국가 글로벌 레짐 21세기를 위한 대안적 시나리오들 21세기 새로운 이데올로기 중국적 세계질서 냉전체제 중화인민공화국 신 세계질서의 기원 신 세계질서에서 중국의 목표 21세기의 정책 대안 추천문헌 2 중국의 정치와 이데올로기 중국의 전통적인 국제관계 천명(天命)과 공산당 민족주의, 영토회복주의 그리고..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정치/사회 > 사회학 > 각국사회/문화 > 일본사회/문화 언제나 앞서간다고 생각했던 나라, 일본 어제에 갇힌 일본의 맨얼굴을 들여다보다 ‘일본통’ 유영수 기자의 일본 선진국론 해체! 그들의 문제에서 우리 문제의 뿌리를 찾다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번져나가기 시작하던 2020년 2월, 일본에서 출항한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항해 도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크루즈선은 서둘러 일본으로 돌아갔지만, 일본 정부의 늑장 대응과 적절하지 못한 후속 조치로 2월 28일까지 705명이 확진되고 6명이 사망했다. 의료에서 우리보다 앞서 있다고 생각한 일본의 미흡한 대처에 의문이 들었지만 그저 일회적인 문제에 그친 줄 알았다. 그런데 코로나19가 일본 국내에 급속도로 퍼져나..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경제/경영 > 경제실무 > 산업경제 경제/경영 > 대학교재 기술/공학 > 금속/재료 > 제조/재료 > 제조업 대학교재 > 경제/경영 중국 국무원은 2015년 5월 선포한‘중국제조 2025’에서‘제조업은 국민경제의 주체일 뿐만 아니라 나라 건설의 근본이며, 나라 부흥의 도구이며, 강성국가의 토대’라며 제조업 육성을 중국 굴기의 핵심으로 선언했다. ‘중국제조 2025’는 중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어 2025년에 중국을 경제 강국 대열에 합류시키고 새 중국 건국 100년째(2049년)를 가까이 하는 2045년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제조 강국으로 자리 잡게 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담고 있다. 이 책 《중국 제조 2025》는 우리 대한민국이 여러 위기와 난제들을 잘 이겨내고 경제 강..

지금 세계에서 힘이 가장 센 두 나라가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죠?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무역에서 일방적으로 손해를 보고 있다며 중국 수입제품에 특별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이에 맞대응하는 보복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G2라 불리는 두 나라의 무역전쟁에 전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까 다른 나라들은 노심초사 하는 모습입니다. 우리나라도 그렇구요. 많은 전문가들은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향해 무역전쟁을 선포한 행정명령은 ‘중국 제조 2025’ 계획을 정조준한 것이라고 분석합니다. 미국은 지난 4월 4일 고율관세를 부과할 중국산 제품 1300개 품목을 발표했는데 이 품목들을 살펴보면 중국의 산업진흥 정책인 ‘중국 제조 2025’와 관련이 있다는 것입니다. 미 무역대표부(USTR)도 이를 숨기지 않습니다..

Tech Cold War, 기술 냉전 미중 무역전쟁, 그리고 미국의 화웨이 공격으로 나타난 현상이 바로 기술 냉전이다. 미국과 옛 소련이 진영을 가르고, 포성없는 전쟁을 치르던 게 바로 '냉전'이었다. 냉전의 속성은 경쟁이다. 미국과 소련은 군비 경쟁을 했다면, 오늘 미국과 중국은 기술 경쟁을 벌이게 된다. [사진 셔터스톡] 도전자는 중국이다.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은 ‘기술 굴기’가 하나의 키워드로 떠오를 만큼 무서운 속도로 기술을 발전시켜왔다. 양자통신, 3D 프린팅 기술 등이 대표적인 분야다. 그러나 구멍은 있다. 미국이 틀어막으면, 중국은 고립되고 마는 영역 말이다. 중국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해야 한다. 그 중 '중국이 아직은 넘지 못한 4가지 첨단 기술'을 알아보자. 미중 기술 냉전의 향방을 결..

8월 세계 첫 양자 통신 위성 발사… 2024년 세계서 유일한 우주정거장 운영 계획 올 6월엔 세계 최고 성능 수퍼컴퓨터, 세계 최초 6기가 D램 탑재 스마트폰도 올 초 내놔 차세대 기술 드론, 민간시장에선 세계 70% 장악 지난 8월 16일 오전 1시 40분(현지 시각) 중국 간쑤(甘肅)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 로켓이 불꽃과 굉음을 일으키며 밤하늘로 날아올랐다. 중국이 세계 첫 양자 통신 위성을 '창정(長征)2D' 로켓에 실어 쏘아 올린 것이었다. 중국이 2011년부터 개발해온 이 위성은 양자 암호를 이용해 지상과 통신하는 기술을 실험하기 위한 것이다. 양자 통신은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해 현존하는 통신 기술 중 보안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중국은 오는 2024년 세계에서 유일하게 ..
http://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ember_translation&wr_id=345735 诸道易辙 불가능. 月子怎么了 대만과 중국의 통일을 비교했을때, 중국은 어떤 방식으로 통일을 진행할것인가가 문제인 반면, 한국은 통일을 할 수 있냐 없냐가 가장 큰 문제이다. 우리는 주도권이 우리손에 있는 반면, 한국은 갖고 있냐? 강대국들에 조종이나 당하면서 자신들의 운명도 마음대로 결정짓지 못하는데? 저렇게 노래나 부르면서 질질짜는게 무슨 소용이 있냐? 게다가 남북한 주위의 국가중에 통일을 원하는 나라가 하나라도 있냐? 전쟁이나 안나면 다행이다. I天依L无缝U 유감이지만, 지구상의 가장 힘 쎈 형님국가 세나라가 모두 남북 통일을 반대한..
흔히들 예언서를 혹세무민이라 하고 그냥 비웃고 맙니다. 이것 또한 조지 프리드먼 교수 처럼 많은 자료를 토대로 분석후에 쓰여진 예측 관련 글입니다.. 2019년경 중국은 점진적인 인건비 상승과 미중 무역대결로 수출제조업의 수출환경이 날로 악화되어 베트남,인도 등지로 외국계 생산시설의 이전 속도가 이전에 비해 더욱 빨리 일어나게 되며, 점진적인 실업증가로 실업률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됩니다. 한편, 한국에서는 2018년 하반기 ~ 2019년 상반기 한반도의 한국전쟁을 종전선언 함으로써 남북경협의 토대를 마련함과 동시에 평양에 미국연락사무소가 개설이 되어 비핵화프로그램이 진행되어 2021년 상반기에 완전한 비핵화가 이루어집니다. 2019년 하반기 ~2020년 상반기 불의고리 주기설에 맞게 높은 확률로 일본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