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모음/제2의 세상 유튜브 (8)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에디터의 노트 4년 전쯤 유튜브 채널을 시작해볼까 생각했습니다. 좋아하는 것들을 사람들에게 공유하는 용도로 말이죠. 그런데 막상 시작하려니 귀찮고, 멋진 유튜버들도 워낙 많아 비교될 거란 생각에 금방 포기했습니다. 저와 비슷한 생각하셨던 분 많을 것 같은데요. 남들보다 일찍, 혹은 남들이 고민할 때 얼른 채널을 열어 유튜버로 활동해온 이들의 이야기를 담아봤습니다. 전업 유튜버로 사는 삶은 어떨지 궁금해 찾아가 물어보기도 했어요. 현상 유튜버 전성시대 예전엔 돈을 번다면 회사에 취직하거나 사업을 시작하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런데 유튜브가 대세로 떠오른 이후 유튜버가 되어 자신만의 콘텐츠로 수익을 내는 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구독자 1000만이 넘는 유튜버가 우리나라에만 10명이 넘습니다. 구독자 100..

에디터의 노트 요즘 들어 자주 들리는 직장인의 3대 거짓말이 있다고 합니다. "나 퇴사할 거야." "나 유튜브 시작할 거야." "나 퇴사하고 유튜브 시작할 거야." 왜 허언에서 그치고 실제 행동으로 옮기진 못할까요? 영상을 찍고 편집하는 과정이 생각만 해도 귀찮기 때문이 아닐까요. 그런데 '숏폼 콘텐츠'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열리며 누구나 엄청 쉽게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숏폼 콘텐츠의 시발점이 된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그 인기에 관해 이야기해봅니다. 현상 유튜브를 쫓아가는 대항마 퀴즈 하나 내볼게요. 지난해 전 세계 애플리케이션 시장에서 게임을 빼고 다운로드 수 1위를 기록한 앱이 뭘까요? 바로 틱톡입니다. 참고로 지난해 유튜브 월간 이용자 수는 23억명으로 집계되며, 연 매출은 1..

에디터의 노트 페이팔 마피아 3인의 손에서 탄생한 작은 재생 버튼 유튜브. 편의성과 개방성으로 무장한 혁신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은 기술의 발전과 대중의 요구, 그리고 팬데믹이라는 초유의 사태까지 맞물려 현대사회의 부분이자 또 다른 장이 됐습니다. 매체의 전유물이던 방송과 미디어에는 개인 크리에이터가 진출했고, 무수한 기호와 의견은 콘텐츠를 넘어 트렌드를 주무릅니다. 유튜브와 함께하며 마주할 미디어 생태계의 앞날과 과제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현상 유튜브와 함께하는 미래 소셜 미디어 통계 분석 사이트 소셜 블레이드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우리나라 개인채널의 수는 약 2430만개입니다. 우리나라 인구 절반에 가까운 수치입니다. 광고수익을 거두는 채널로 좁혀보면 지난해 말 기준 9만7934개입니다. 구글..

리포트: 제2의 세상, 유튜브 또 다른 장, 유튜브 유튜브가 낳은 변화 by 박중현 에디터의 노트 이제까지 유튜브가 어떻게 출현해 우리를 사로잡았는지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반대로 오늘날 우리가 유튜브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살펴봅니다. 여러분은 어떨 때 유튜브를 켜시나요? 무얼 보고 어떤 활동을 하시나요? 오늘날 유튜브는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 안엔 어떤 배경과 의미가 담겨 있는지 들여다봅니다. 배경 영상의 시대, 온라인의 시대 유튜브가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근원적인 배경은 인터넷 기술 발전을 바탕으로 한 영상 선호 흐름입니다. LTE를 넘어 5G망을 구축하고 있는 오늘날 디지털 시대의 기본 언어는 텍스트도 이미지도 아닌 영상입니다. 둘에 비해 많은 정보와 자극을 효율적으로 가져다주는 영상은 짧은 시간에 다양..
유튜브를 빼고 오늘날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당장 유튜브란 존재가 지워진 일상은 상상조차 하기 힘든데요. 오늘날 유튜브는 단지 하나의 플랫폼을 넘어 개인의 삶과 사회의 여러 문법을 바꾼 또 하나의 세상이 됐죠. 유튜브는 언제 어떻게 우리의 삶을 점령했을까요? 혹은 그런 유튜브로 들여다 본 현대사회는 어떤 모습일까요? 콘텐츠 목차 1장 유튜브는 어떻게 '제2의 세상' 됐나 어느샌가 당연히 우리 삶 한 부분을 꿰차고 있는 유튜브는 오늘날 제2의 세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수많은 사람이 저마다의 이유로 일상을 함께하는 유튜브, 언제 어떻게 시작돼 성장했을까요? 단순히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넘어 현대사회의 라이프체인저가 된 유튜브는 어떤 변화들을 낳았을까요? 현대사회를 물들인 붉은 조각, 유튜브에 관해 ..

에디터의 노트 오늘날 유튜브는 현대인의 필수품이자 동반자가 됐습니다. 그야말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유튜브를 통해 각양각색의 콘텐츠를 수시로 소비하기 때문인데요. 아마 즐겨보는 TV 프로그램에 관한 물음에는 망설여도 즐겨보는 유튜브에 대해서는 누구나 이야기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 너무도 익숙한 마당에 새삼스러운 질문을 돌이켜 봅니다. 대체 유튜브의 무엇이 현대인을 사로잡은 걸까요? 혹은 현대사회의 무엇이 유튜브와 찰떡같이 맞물린 걸까요? 대상: 유튜브 없이 못 사는 현대사회 우리나라 통계도 살펴보겠습니다.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유튜브 사용자 수는 약 4000만명입니다. 한 달 동안 모바일기기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분석해 계산한 순수 이용자 지표(MAU, Monthl..
에디터의 노트 사실 오늘날 유튜브의 존재감을 '떴다' 정도로 표현하기엔 어색한 구석이 있습니다. 떠오른 수준이 아니라 자체로 현대사회의 한 부분이 돼 버렸기 때문인데요. 지난 화에서 '페이팔 마피아' 3인의 기지로 출현한 유튜브가 세상의 인정받기까지 얘기했다면, 이어서 세상을 잠식하는 '공룡'이 되기까지 유튜브가 어떤 길을 헤쳐왔는지 얘기합니다. 유튜브 스토리, 다시 재생해 볼까요? 배경: 유튜브의 성장통 벤처캐피탈 '세쿼이아 캐피탈'로부터 1150만달러(한화 134억원)를 투자받고 성장세를 이어가는 유튜브. 2005년 2월 창업 후 1년 조금 지나 이미 내로라하는 미디어 대기업에 견주는 영향력을 지닙니다. 해외 진출이며 모바일 서비스며 사업은 확장되는데 직원은 단 서른여명. 하루 조회수 1억건을 넘어가..
에디터의 노트 과제가 하나 있다고 가정해보죠. 외계인에게 한 가지 테마로 오늘날 인간사회를 설명하는 겁니다.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코로나19로 팬데믹이 잠식한 현대를 얘기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과 닭뼈를 들어 인간이 지구시스템에 끼치는 영향을 인류세로 설명할 수도 있겠죠. 어느새 삶 곳곳을 꿰차고 있는 AI를 소개하며 포스트휴먼의 세계를 그려줄 수도 있고요. 하지만 간단한 방법은 따로 있습니다. 휴대폰을 꺼내 유튜브를 켜는 겁니다. "야, 이게 지금 인간사회야."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한 붉은 상자 유튜브, 과연 어떻게 출현했을까요? 배경: 무엇이 유튜브를 나오게 했나페이팔 창립 멤버에서 '페이팔 마피아'로 유튜브의 창립자는 3명입니다. 온라인 결제 서비스로 유명한 페이팔(PayPal)의 초기 멤버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