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엔지속가능발전 (14)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그린피스는 글로벌 경제전문가 100인을 대상으로 탄소국경세 도입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지금 우리 세계가 당면한 가장 큰 위기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주저 없이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이라고 답하는 분들이 적지 않을 것 같은데요? 하지만 세계경제전문가들의 시각은 달랐습니다. 바로 기후위기가 우리 인류가 당면한 가장 큰 위협이라는 것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고개를 갸우뚱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전문가들의 이 같은 견해는 그린피스가 한국갤럽과 함께 우리나라와 미국, 유럽 지역의 경제 전문가 10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확인됐습니다. 빈곤 ,전염병, 물부족, 기후위기 등 세계적 문제로 지적되는 다양한 보기를 제시하고 다음과 같이 질문..

그린피스가 시민들과 함께 요구해서 이끌어낸 네이버의 100% 재생에너지 전환 로드맵의 의미와 과제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녹색 검색창과 모바일 메신저로 모두에게 친숙한 기업이죠. 네이버가 2040년까지 건물에서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로드맵을 지난 5월 28일 발표했습니다. 이에 앞서 작년 10월, 네이버는 ‘2040 카본 네거티브(Carbon Negative)’ 전략을 밝힌 바 있는데요. 쉽게 말해, 배출하는 탄소량과 감축량을 일치(배출=감축)시킨다는 ‘탄소 중립’에서 한발 더 나아가, 감축량을 배출보다 더 크게 하는 네거티브(-)를 2040년까지 달성하겠다(배출
삼성전자(이하 삼성)가 추진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전환 사업을 총체적으로 평가한 보고서가 나왔다. 2016년부터 삼성의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펼쳐온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서 최근 삼성이 진행해온 100% 재생에너지 전환 사업의 성과를 분석했다. 내용 그린피스는 삼성의 재생에너지 전환 성과를 ‘부분적 달성’으로 평가했다. 삼성이 달성한 재생에너지 전환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달수단인 ‘언번들 REC’(Unbundle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언번들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방식과 녹색 요금제가 88%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언번들 REC는 실제 전력 그리드로 추가되는 재생에너지를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재..

● 그린피스, 삼성전자 재생에너지 전환 달성 분석한 보고서 발표 ● 전 세계 사업장에서 100% 재생에너지 전환 등 공격적 목표 세워야 삼성전자(이하 삼성)가 추진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전환 사업을 총체적으로 평가한 보고서가 나왔다. 2016년부터 삼성의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펼쳐온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서 최근 삼성이 진행해온 100% 재생에너지 전환 사업의 성과를 분석했다. 삼성은 2018년에 미국·유럽·중국 시장에서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겠다는 목표를 밝혔고 2020년에 이를 달성했다. 그린피스는 삼성의 미국·유럽·중국 시장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과정과 성과 및 한계를 분석하고, 삼성이 기후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그린피..

기후변화는 지구와 우리, 미래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세계에서 가장 저명한 기후변화 연구자들이 모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최근 2천 페이지가 넘는 보고서에서 커피 원두, 여행부터 내전 가능성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을 다양하고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기후변화는 지금 모든 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최근 수십년 간 일어난 기후변화는 모든 대륙과 해양에 걸쳐 자연 및 인간의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기후변화로 관측된 영향들은 광범위하며 심각하다.” “계속되는 기후변화는 육지, 담수, 해양에 사는 많은 생물종들의 서식지, 계절 활동, 이동 패턴, 번식, 종 상호작..
Post-2015 3차 정부간 협상에 앞서 한국 정부 협상단에 전달 인권기반접근, 기후정의, 발전권 등 SDGs의 핵심 원칙 제시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이하 KoFID)은 지난 3월 20일 「Post-2015 제3차 정부간 협상대비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 목표와 세부목표에 관한 KoFID 의견」을 정부 측에 전달하였습니다. 지난 2000년 채택된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가 2015년 만료됨에 따라 새로운 개발의제 채택을 위한 정부간 협상이 올해 초부터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 중 3차 정부간 협상이 3월 23일부터 27일까지 미국 뉴욕 UN본부에서 진행됨에 따라 이번 협상 주제인 목표(Goals)와..
현대 서구의 물질문명사회는 인본주의 사상과 기계론적 우주관에 그 뿌리를 두고 발전되어 왔습니다. 공리주의 철학에 바탕을 둔 인본주의는 본질적인 가치를 지니는 주체로는 인간만을 설정하고, 자연은 본원적인 존재가치가 없이 인간의 행복달성을 위한 수단적인 객체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인간이 자연을 소유·지배·관리함으로써 영원한 번영을 누릴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습니다. 또한 기계론적 우주관은 우주와 자연은 수많은 부품으로 만들어진 자동차와 같아 만일 어떠한 부분이 고장나면 그것만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다시 작동되는 것으로 인식하였습니다. 이러한 자연관과 문명에 대한 인식은 인간이 자연을 착취하는 경제·사회구조를 만들었습니다. 1960년대 이후 지속되는 환경파괴로 인류의 생존에 대한 위협이 제기됨에 따라 새..

UN SDGs(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인류의 보편적 문제(빈곤, 질병, 교육, 여성, 아동, 난민, 분쟁 등)와 지구 환경문제(기후변화, 에너지, 환경오염, 물, 생물다양성 등), 경제 사회문제(기술, 주거, 노사, 고용, 생산 소비, 사회구조, 법, 대내외경제)를 2030년까지 17가지 주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해결하고자 이행하는 국제적 공동목표 Goal 1 모든 형태의 빈곤종결 Goal 2 기아해소,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 Goal 3 건강 보장과 모든 연령대 인구의 복지증진 Goal 4 양질의 포괄적인 교육제공과 평생학습기회 제공 Goal 5 성평등 달성과 모든 여성과 여아의 역량강화 Goal 6 물과 위생의 보장 및 지속가능한 관리 Goal 7 적정가격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제공 Go..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 '유엔인간환경선언‘ 채택, 지구환경문제가 국제적 관심사로 부상 1987년 『우리 공동의 미래』(브룬트란트 보고서)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정의 :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리우회의) ‘의제21(Agenda 21)" 채택 : 21세기를 향한 지구환경 보전 종합계획 부문 내용 사회경제 빈곤퇴치, 소비형태의 전환, 보건, 인간정주, 인구문제 등에 대한 지속개발 추진과제 자원의 보전 및 관리 대기, 토양, 산림, 생물다양성, 해양, 폐기물 등의 환경청정 관리 및 보전 주요그룹의 역할강화 지속가능한 개발과 여성, 민간단체, 지방정부, 산업계, 과학기술계, 노동계 등의 역할강..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이란 경제의 성장, 사회의 안정과 통합, 환경의 보전이 조화를 이루며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발전을 의미한다. 제한된 자원 속에서 무조건적인 경제 성장은 가능하지 않음을 인정하고 현재와 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골고루 충족시키면서 지속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발전의 방향을 재정립하는 것이다. 1987년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에서의 용어 정의 지속가능발전이란 미래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발전(developm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lility of generations to meet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