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4차산업혁명 관련/명견만리 (5)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경제/경영 > 경제일반 > 경제학일반 이 책의 주제어 #청년빈곤 #탄소중립 #공공복지 #공감혁명 #신뢰자본 #대전환 #포스트코로나시대 #위기돌파전략 #저성장 #기후위기 김난도, 성태윤, 송길영, 최재천, 장강명 강력 추천 90만 독자가 열광한 대한민국 대표 지식교양 시리즈 《명견만리》 그 다섯 번째 이야기 ‘미래의 가치’ 편 드디어 출간! “그 어떤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을 가치는 무엇인가” 우리 사회의 절박한 어젠다와 미래 이슈들을 공론화하고 대중들의 지지와 변화를 이끌어온 《명견만리》 시리즈. 2021년 2년 만에 다시 돌아온 최신간 《명견만리: 미래의 가치 편》에서는 ‘대전환, 청년, 기후, 신뢰’ 네 주제를 통해 팬데믹 이후 인류가 직면한 복합 위기를 진단하고, 나아가야 ..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경제/경영 > 경제일반 > 경제학일반 이 책의 주제어 #경제전망 #불평등 #병리 #정신질화 #금융 #가상화폐 #블록체인 #핀테크 #지역 #지방소멸 밝은 지혜로 만 리를 내다보라! 강연과 다큐를 결합한 KBS의 렉처멘터리 《명견만리》는 김난도, 김영란, 최재천 등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부터 서태지, 성석제 등 문화계 인사까지 출연하여 우리 사회의 아젠다를 효과적으로 공론화하며 콘텐츠의 진화를 이끌어냈다는 평을 받았다. 이번 『명견만리』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다룬 미래 사회의 주요 키워드들 중 ‘불평등, 병리, 금융, 지역 편’을 엮은 것으로, 기울어진 사회 풍경을 조명하고 인류가 지속 가능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선택지가 된 공존과 공생의 길에 주목한다. 불평등 파트에서는 장기..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경제/경영 > 경제일반 > 경제학일반 이 책의 주제어 #경제학 #경제전망 #미래예측 #통찰 #문재인대통령추천도서 2017년 문재인 대통령 추천도서! 밝은 지혜로 만 리를 내다보라! 강연과 다큐를 결합한 KBS의 렉처멘터리 《명견만리》는 김난도, 김영란, 최재천 등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부터 서태지, 성석제 등 문화계 인사까지 출연하여 우리 사회의 아젠다를 효과적으로 공론화하며 콘테츠의 진화를 이끌어냈다는 평을 받았다. 이 책 『명견만리』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다룬 미래 사회의 주요 키워드들 중 ‘정치, 생애, 직업, 탐구 편’을 엮은 것이다. 책은 익숙한 현실에서 벗어난 대담한 상상력으로, 앞으로 우리가 만들어갈 새로운 사회에 대해 생각의 한계를 깨는 놀라운 제안들을 던지고 있다..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경제/경영 > 경제일반 > 경제학일반 이 책의 주제어 #경제학 #경제전망 #미래예측 #통찰 #문재인대통령추천도서 밝은 지혜로 만 리를 내다보라! 강연과 다큐를 결합한 KBS의 렉처멘터리 《명견만리》는 김난도, 김영란, 최재천 등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부터 서태지, 성석제 등 문화계 인사까지 출연하여 우리 사회의 아젠다를 효과적으로 공론화하며 콘테츠의 진화를 이끌어냈다는 평을 받았다. 이 책 『명견만리』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다룬 미래 사회의 주요 키워드들 중 인구, 경제, 북한, 의료 편을 엮은 것이다. 책에는 은퇴폭탄, 일자리 실종과 같은 가까운 일상의 풍경부터 북한의 장마당, 치매 쓰나미 등 우리가 쉽게 접하지 못하고 예상 못하는 이슈들까지 기존의 미래예측을 뛰어넘는 통찰을 ..

책소개이 책이 속한 분야경제/경영 > 경제일반 > 경제학일반이 책의 주제어#경제학 #경제전망 #미래예측 #통찰 #문재인대통령추천도서KBS [명견만리], 두 번째 화두를 던지다!강연과 다큐를 결합한 KBS의 렉처멘터리 《명견만리》는 김난도, 김영란, 최재천 등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부터 서태지, 성석제 등 문화계 인사까지 출연하여 우리 사회의 아젠다를 효과적으로 공론화하며 콘테츠의 진화를 이끌어냈다는 평을 받았다. 그리고 그간 《명견만리》가 다룬 미래 사회의 주요 키워드들을 2편으로 나누어 책으로 엮었다. 전편 《명견만리》에서 인구, 경제, 북한,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기존의 예측을 깨는 내용들을 보여줬다면, 이번 『명견만리: 윤리, 기술, 중국, 교육 편』에서는 윤리, 기술, 중국,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