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모음/💡자본주의 (8)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에디터의 노트 자본주의를 주제로 한 이즘 스튜디오 마지막 화를 맞아 앞으로의 자본주의를 전망합니다. 자본주의는 현재 어떤 과제를 맞닥뜨리고 있으며, 이에 대해 국내외 정·재계는 어떤 모습을 보여주고 있을까요? 자본주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그리고 ‘ESG’를 통해 살펴봅니다. 현실적 적용에 어려움은 없는지도 짚어 봅니다. 문제의식💡 지속가능성의 위협 현 신자유주의 체제 자본주의가 맞닥뜨린 과제는 지속가능성의 위협입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소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맹목적인 자본 축적이 낳는 양극화와 성장 과정에서 시장 외부효과로 간과된 환경오염입니다. 자본 축적의 욕망은 자본주의의 힘입니다. 이 욕망 덕분에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시장을 개척했으며, 체..
에디터의 노트 앞으로의 자본주의를 그려보기에 앞서 자본주의 체제가 인류 역사에 남긴 대표적 변화와 의미를 검토합니다. 세계를 단일한 자본주의 체제로 파악했던 사회 경제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저서 을 토대로 자본주의가 가져온 집단적, 개인적 삶의 변화를 살펴봅니다. 그리고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가려지기 쉬운 시장 외부효과를 '폴라니의 역설'과 함께 돌아봅니다. 검토1️⃣ 자본주의는 '묵시록의 네 기사'를 물리쳤는가? 미국 예일대 석좌교수를 지냈던 고 이매뉴얼 월러스틴(1930~2019)은 세계체제의 차원에서 자본주의 역사를 분석해 시리즈로 유명한데요. 1991년 진행한 대학 강의를 바탕으로 한 전반부에서 그는 자본주의 문명의 역사적 성과에 대해 '득실표'를 따져봅니다. 먼저 얘기할 것은 '묵시록의 네 기..

자본주의의 현주소는? 신자유주의와 자본주의 4.0 박중현 에디터의 노트 그간 여러 화에 걸쳐 자본주의의 주요 흐름과 특징을 짚어봤습니다. 역사적으로 부수적 역할을 수행하던 시장경제는 상업과 유통 발달에 힘입어 사회 주요 영역으로 부상했습니다. 산업혁명을 맞아 생산 영역을 포함한 산업으로 자리 잡았고, 자유방임주의에 따라 그 몸집과 경쟁 양상이 커졌습니다. 이에 독과점 및 생산과잉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정부는 수정 자본주의라는 메스를 꺼내 들었죠. 이번 화에선 다시 정부 실패를 지적하며 시장 주도 경제 질서를 주창한 신자유주의와 함께, 양극화와 환경 문제로 또다시 변곡점을 맞은 오늘날 자본주의를 짚어봅니다. 전개4️⃣ 신자유주의 개념 신자유주의는 정부 불신과 시장 신뢰를 바탕으로 합니다. 수정 자본주의 아래..

에디터의 노트 지난 화에선 자본을 투자해 이윤을 창출하는 자본가의 등장과 상업(유통)을 중심으로 시장경제로 전환하는 봉건사회 상업 자본주의를 짚어봤습니다. 이어서 유통뿐 아니라 생산에 있어서도 사회의 지배적 체제가 된 산업 자본주의부터 변화의 주요 흐름을 살펴봅니다. 각 시대의 사건, 특징, 학자를 토대로 자본주의 역사의 핵심을 정리해볼까요? 전개1️⃣ 산업 자본주의 '자본주의' 앞에 붙는 명명은 해당 자본주의 체제를 이끄는 핵심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집니다. 예를 들어 중상주의 시대 자본주의는 유통 위주의 상업이었다면,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는 생산을 포함한 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개념 산업 자본주의는 상업을 통해 부를 축적한 부르주아(자본가)가 생산을 주도합니다. 자본이 기계에 투자되고, 제조업을 기..
에디터의 노트 보이지 않는 손, 국부론, 경제 대공황, 뉴딜 정책, 수정 자본주의, 자유 방임주의...... 혹시 들어는 봤지만 헷갈리거나 명확한 이해는 어려웠나요? 같은 삶을 사는 경제 구도 안에서 좌파 입장은 다르고 우파 입장은 왜 다른지 궁금하신가요? 국제정치 및 교육에 조예가 깊은 미쉘님이 경제학의 두 대부 애덤 스미스와 존 케인스를 비교해 쉽고 빠르게 설명해 드립니다. 좋아하는 분야(?)여서 그런지 영상 내내 하이텐션인 미쉘님의 모습을 지금 영상에서 만나보세요!😎 경제학의 기본 핵심 정리 by 미쉘😎 1️⃣ 자본주의와 수정 자본주의💰 애덤 스미스 → 자유와 효율성을 통한 성장 추구 작은 정부, 최소 세금, 시장의 자율성, 보이지 않는 손, 개인의 자유, 복지 X 존 케인스 → 공평성에 기반한 분..

에디터의 노트 지난 화에선 자본주의적 사고 방식과 체제가 어떻게 사회적 합의를 얻기 시작했는지 살펴봤습니다. 이전 사회와 대비되는 자본주의의 특징은 상품 거래로 발생하는 이윤 추구에 기반한 경제 시스템인데요. 과거 경제와 정치는 분리되지 않았습니다. 이윤의 추구는 정치·윤리적으로 장려되지 않았고 따라서 상공업의 위상도 높지 않았죠. 지난 화에서 이를 전환하는 자본주의적 의식의 뿌리를 들여다봤다면, 이어서 당시 유럽의 역사적 배경과 이해관계를 짚어봅니다. 개요📑 상업에서 산업으로 사회적으로 자본주의가 출현한 시기를 특정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시각이 있습니다. 상업이 본격적으로 떠올랐다는 의미에서 흔히 '중상주의'로 일컫는 16세기와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난 18세기 이후입니다. 위 두 시기로 특정하는 ..

에디터의 노트 현대사회의 체제와 사상을 구성하고 있는 자본주의는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지금이야 국가와 사회, 개인을 막론하고 보편적 구성 원리로 받아들이고 있는 자본주의지만, 그 역사는 길게 잡아야 중세 이후로 500년 안팎입니다. 인류의 역사로 볼 때 자본주의로 살아온 세월은 그리 길지 않은데요. 이런 물음도 가능합니다. 물질적 가치 및 이윤의 추구는 언뜻 도덕적 삶과 거리가 있어 보이는데, 어떻게 사회적 합의를 얻은 걸까요? 그 배경에 존재하는 당대 사회적 배경은 무엇일까요? 개념🚩 '자본주의' 용어의 출현 지난 화에서 자본주의(capitalism)에 대해 자본의 가치와 활용을 긍정하는 사상 내지 체제로 얘기한 바 있습니다. 이는 개념 정립을 돕고자 오늘날 자본주의의 의미를 함축적으로 정리해본 것인데..

에디터의 노트 현대사회는 어떻게 구성돼 있을까요? 정치, 경제, 과학, 종교 등 다양한 문물이 사회 각 부분을 이루고 형성합니다. 한편 자본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평등주의 등 다양한 '주의'(ism)가 모이고 때로 충돌하며 사회를 움직입니다. 문물이 신체라면, 이즘은 정신입니다. 똑똑 리포트 두 번째 시즌 '이즘 스튜디오'는 문물 만큼이나 다변하는 오늘날 이즘들이 현대와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지 조명합니다. 앞으로 8화에 걸쳐 탐색할 대상은 자본주의입니다. 문제 의식🎈 자본주의란 자본 및 그 이익에 의하여 주로 지배되고 있는 사회 조직 — 오펜하이머 자본주의는 오늘날 세계를 움직이는 대표적 작동 방식이다. 시장경제에 기댄 사회적 생존 양식은 물론 개인의 생활이나 사고의 방식 역시 자본주의에 근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