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이슈분석]DJI 급성장 배경에는...중국 정부 발빠른 드론 정책 본문

카테고리 없음

[이슈분석]DJI 급성장 배경에는...중국 정부 발빠른 드론 정책

천아1234 2022. 7. 31. 17:03

<DJI 드론 스파크 이미지<전자신문DB>>

DJI가 세계 최대 상업용 드론 기업으로 급성장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발 빠른 지침 마련과 규제 완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 선전시는 일찌감치 2003년 '통용항공비행관제조례'를 제정했다. 이 법안으로 드론의 민간 활용을 폭넓게 허용하고, 시정부 차원 육성 의지를 드러냈다. 선전시는 DJI 본사가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중국 국가 차원에서는 2009년 드론 관련 지침이 마련됐다. 중국민용항공국 항공기심사국이 '민용 무인기 관리에 관한 문제의 잠정 규정' '민용 무인기 관리 회의 개요'를 발표했다. 드론 비행 신청계획, 사용 항공지역 등 요건을 명확히 규정, 자국 드론 산업이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드론은 산업 특성상 안보와 사생활 침해 우려가 크다. 강력한 규제 체제를 가진 중국 정부가 한발 앞서 민간 드론 규제 지침을 마련하고, 규제 완화를 추진하지 않았다면 혁신에 차질을 빚었을 가능성이 크다.

중국 정부의 이 같은 드론 활성화 정책은 세계 각국 정부와 비교해도 한 발 앞선다. 드론 산업 육성과 규제 완화 정책이 본격화된 것은 대체로 2015년 전후이기 때문이다.

미국에선 연방항공청(FFA)이 2014년 9월 허가를 별도로 받지 않아도 드론을 사용할 수 있는 상업적 드론 운항 업체를 처음 선정했다. 일본에선 2015년 말 드론 운항 규칙을 정비한 개정 항공법이 시행됐다. 법안은 드론 비행 시 허가가 필요한 공역, 운행 가능 시간, 거리 유지 등을 정하고 있다.

현재 DJI 점유율은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 70%에 육박한다. 국내도 DJI를 중심으로 중국산 드론 비중이 크다. 시장조사업체 GfK에 따르면 2017년 1~8월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드론은 3만5000여대로 집계됐다. 금액 기준으로 중국 DJI 73%, 중국 시마 16%, 프랑스 패럿 4%, 중국 치어슨 2%, 중국 JJRC 1%로 집계됐다.

드론업계 관계자는 “DJI가 빠른 혁신을 통해 세계시장 선두 업체로 거듭난 배경에는 중국 정부가 2000년대 초반부터 지원과 육성이 이뤄졌기 때문”이라면서 “시장 진출이 한 발 늦은 한국이 열세를 극복하려면 정책적 지원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