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제7의감각, 초연결지능 본문

4차산업혁명 관련/제7의 감각초연결지능

제7의감각, 초연결지능

천아1234 2017. 7. 21. 19:58

제7의감각, 초연결지능
"육감"이란 말은 예전부터 있어 왔습니다. 다만 그 정확한 뜻에 대해서는 논자마다 입장이 제각각이며, 과연 모든 이에게 고르게 그 "여섯번째(라는) 감각"이 발달해 있는지(다섯 개의 기본 감각은 개체에 따른 편차가 크지는 않고, 작동 기제에 대해서도 비교적 상세히 규명되어 있죠), 아니면 아예 그 존재 자체가 과연 믿음직한 기반을 마련하기나 했는지에 대해서도 다 의견이 갈립니다. 한편으로, 어떤 불가해한 보충적 감각의 총체가 없다면, 고지식하게 다섯 개의 센스(센서)만으로 인간이 살아남기란 매우 어려웠을지도 모릅니다.
문명과 집단 생활, 시스템의 발전이 일종의 FOOLPROOF를 마련함에 따라, 우리 인간은 점점 "육감"이 퇴화하는 중인지도 모르겠고요. 그렇다고, 육감이 혹 야생의 하등동물에게나 발달된 속성이라고 해서 이의 자가장착을 마다할 인간은 아마 아무도 없을 겁니다. 남의 기분을 잘 읽는 능력, 상황에 맞게 머리를 잘 다듬고 옷을 근사하게 차려 입고 나가는 능력은 우리가 다 "센스"라고 부르는 것들인데, 이게 다 생존을 원활히 꾸려 나가기 위한 소중한 자산이죠. 어쩌면, 머리가 좋다, 돈이 많다, 잘생겼다, 이런 칭찬보다 더 듣기 좋은 게 "센스 좋다"란 말일지도 모릅니다. 이런 건 누구한테 배운다고 나아지는 게 아니라, 왠지 타고난(혹은 좋은 환경에서만 체득된) 장점인 것 같아서이지요.
그런데 이 책은 "제7의 감각"으로서, 이른바 "초연결지능"을 거론합니다. 육감이란 말도 분명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거니와 그 자체로 포괄적(보충적)인 개념인데, 그것과는 또 별개로, 전혀 관계 없어 보이는 다른 지점(영역, 지식, 경험, 인간망)을 "연결"시키는 감각을 따로 이렇게 불러야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입니다. 어떤 능력이나 자질, 특성이 따로 이름을 가져야 한다면, 그 이유는 대개 분명합니다. 그게 목표를 이루거나 개체의 생존을 도모함에 있어, 최우선순위를 둘 필요가 있다는 뜻입니다. 저자는 "4차 산업 혁명"이라는 키워드로 대변되는 현재의 트렌드(많은 이들이 그 정체를 몰라 불안해하기만 하는) 속에서, 변화의 바른 방향을 예견하고 성공적인 적응, 나아가 승자로서의 레이스를 이어가기 위해, 개인이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게 이 "연결지능", 아니 그를 넘어선 "초"연결지능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말은 사실 우리에게 전혀 낯선 개념도 아니고, 이미 그 중요성이 (워딩만 달리하여) 큰 인기를 끌어가며 강조된 바 있습니다. 잡스가 타계한지 근 6년이 되어갑니다만, 혁신의 아이콘으로 널리 숭앙되었던 그가 혁신을 정의한 말이 있는데 그게 바로 "연결"입니다. 애플의 아이폰에 적용된 기술 중 잡스가 실험실에서 직접 머리를 짜 내어 안출(마치 토머스 에디슨처럼)한 건 거의 없습니다. 그는 타 여러 섹터에서 자생적으로 속출하던 여러 기술을, 디바이스 한 대에 집약 연결하여 모든 이의 손에 한 대씩 쥐어 주겠다는 생각을 최초로 했을 뿐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이 최적의 효용과 경제성으로 투입, 조립, 화학적 결합을 이룰지에 대해 남들보다 탁월한 안목을 지녔던 셈인데, 그게 바로 초연결지능이라고 볼 수 있죠. 다른 말로 하면 "혁신의 본체, 본질"이겠고 말입니다.
저자는 우리 인류의 지난 역사에 주목합니다. 큰 사이즈의 함포, 폭발력 좋은 화기, 적은 기름만 먹고도 쌩쌩 달리는, 그러면서도 잘 부서지지 않는 탱크, 이런 걸 가진 집단과 조직이 패권을 차지하는 게 정석이었던 과거. 그러나 현재는, 어디 있는지도 모르면서 한 곳에 엮이기(꼭 물리적 동일 공간을 뜻하는 게 아님은 당연)만 하면, 그 연결만으로도 전에 없던 권력이 생성되는 게 현대의 마력이라는 겁니다. 더 놀라운 건, 우리들 개개인이 특정 배후 권력의 수단으로 쓰이기만 하는 게 아니라(그래선 안 되죠), 우리 자신이 누군가의 사이에서 연결 지점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권력의 창출과 변혁의 주체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음을 강조한다는 겁니다.
줄리언 어산지라든가 스노든 같은, 아무 배경이나 자산도 없던 "일개인"이 세계 역사를 바꿔놓을 만한 파장을 일으킨 걸 보십시오. 그들이 그런 사고를 칠 수 있었던 궁극의 동력은, 바로 네트워크의 힘입니다. 거대 권력 집단이 통치와 지배의 편의를 위해 깔아 둔 네트워크가, 이들 영민한 개인에 의해 허점이 발견된 후에는 오히려 권력 균열의 단초를 제공하고 만 것이죠. 이 때문에 네트워크의 마력이 개인과 세계를 빼곡히 감싸고 도는 지금 같은 세상에선, "민주화"의 의미가 전혀 새롭게 다가오기도 하는 겁니다.
사실 돌이켜 보면, 이른바 "엠파이어 오브 건파우더"의 시대에도, 그저 물량만 가뜩 쟁여 놓는다고 패권이나 번영이 절로 찾아드는 건 아니었습니다. 자원이나 무기의 소재를 정확히 알고, 이의 유효한, 경제적인 활용을 도모할 줄 아는 어떤 "지혜"야말로 최후의 승자를 결정하는 요인이었다는 겁니다. 어쩌면 우리는 오랜 역사를 통해 참된 생존의 비결을 이미 감지해 왔고, 이를 다만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른 말로 표현하는지도 모릅니다. 무관해 보이는 두 개(혹은 그 이상)의 적절한 접합, 화학적 결합을 절묘히 이룰 때 폭발적인 시너지를 내게 하는 능력, 이것이야말로 궁극의 지혜이며, 한 고제 유방 같은 이도 결국 이 능력 하나로 천하를 손에 거머쥐었는지도 모릅니다. 혁신의 시대에 이 결합, 연결의 지혜야말로 우리가 가장 크게 염두에 두어야 할 계발 대상이라 하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