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호주 산불 현황.. (비가 간절합니다 🙏🏻) 본문
2020년 1월 10일 (금)

(출처: soonsal)
- 역대 최악의 이번 호주 산불로 서울의 100배가 넘는 면적이 잿더미, 25명 인명 피해, 피해액 7억 호주달러 (한화 5.6조원). 야생동물 5억마리 이상 희생, 코알라 멸종위기설까지 (느린 동작에 피해 막심, 호주 전체개체수 80% 가량이…😢). 특히 시드니가 위치한 NSW지역 지난 한 해 피해 > 과거 15년치 합
- 왜 호주? ‘산불 = 연료 (나무 등 삼림) + 낮은 습도 + 산소’. 호주의 이런 자연 환경공식(?) 때문에 자주 산불로 곤혹. 이번엔 장기간 가뭄과 폭염 (40도 ++), 남반구 서풍까지 더해져 역대급 산불으로 확산. 전문가들은 과거부터 기후변화가 더 큰 규모의 산불을 발생시킬 거라 경고해 옴
- 호주 정부 후속 대응: 특별기구 신설, 20억 호주달러 지원키로 (한화 16조원). 그러나 모리슨 총리가 작년 말 장기 휴가를 떠나고 (그것도 하와이로), 신년맞이 불꽃놀이도 강행, 소방청 예산 동결하면서 여론 악화. 특히 초반에 석탄산업 보호차 기후변화와 산불이 무관하다는 주장을 펼쳐 비난 증폭 (결국 기후변화 시인)
- 흥미로운 점: 최근 이 산불이 300여명의 방화범 때문이라는 주장 등장.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보수 매체들이 현 정부를 옹호하며 산불 원인을 ‘기후변화-> 방화’로 초점 이동
- 경기 타격: 골드만삭스는 당장 호주의 민간 투자 & 농축산업 손실 예상, 관광 산업도 막대한 피해 예상
- What they should do: 호주는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 ‘중국->한국’처럼 ‘호주->뉴질랜드’발 미세먼지 타격도 적지 않을 듯. 기존의 석탄화력발전을 재생에너지로 교체하는 등 에너지 정책 전환의 계기가 되길 기대
'기후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리기후협정은 무엇? (#Paris_Climate_Change_Accord) (0) | 2021.05.11 |
---|---|
유럽의 녹색정책 & 녹색금융 🌳🌳🌳 (0) | 2021.05.11 |
2050 탄소중립 계획 (0) | 2021.05.11 |
청소년 기후위기 헌법소원 🌱 (0) | 2021.05.11 |
기후위기와 101마리 벌레들 (0) | 2021.05.1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