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미래학자/앨빈토플러 (20)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권력의 새로운 의미 권력이동 시대 21세기를 목전에 둔 권력을 다루고 있다. 폭력ㆍ부(富)ㆍ지식 그리고 그것들이 우리 생활에서 수행하는 역할 문제를 다루고 있다. 격변하는 세계에 의해 열려진 새로운 권력에의 길을 논한다. 미래에 의한 폭격 우리 생애의 가장 중요한 경제적 사태발전은 근육운동이 아닌 정신에 기초하여 부(富)를 창출하는 새로운 체제가 등장했다는 데 있다. 사실 GM사가 곤경에 빠지고 일본이 융성하게 된 배경에는 정보 또는 지식에 의한 동물적 노동의 대체가 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GM사가 여전히 지구가 평평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을 동안 일본은 지구의 가장자리를 탐색해 보고 지구가 평평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있었다. 완력ㆍ돈 그리고 정신 사실 현대영화뿐 아니라 옛날 신화도 폭력ㆍ부ㆍ지식이..

앨빈 토플러 27일 타계 미래사회와 인간에 대한 낙관과 애정 “돈을 넘어선 더 큰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라” “미래를 지배하는 힘은 읽고, 생각하며 커뮤니케이션 하는 능력” 지난 2006년 를 출간할 당시의 앨빈 토플러 박사. 자료사진 1950년 미국 뉴욕대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22살 청년이 캠퍼스 커플과 결혼한 뒤, 클리블랜드의 제너럴모터스(GM) 공장 알루미늄 용접공으로 취업한다. 5년간 그곳에서 일하며 조립라인과 대량생산의 원리를 몸으로 익힌다. 부인도 같은 공장 노동조합 간사로 근무했다. 매카시즘이 기승을 부리던 당시, 대학을 갓 졸업한 20대 부부는 사회주의에 심취해 “노동운동에 지식인들의 도움이 필요할 것 같아” 공장으로 들어간 것이다. 나중에 세계적 석학이 된 앨빈 토플러는 이때의 ..

“北, 핵보유하는 한 통일 어렵다” 김대중 전 대통령 내외와 앨빈 토플러 박사가 5월 31일 오찬 대화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 박사가 지난 5월 31일 동교동 김 전 대통령 사저에서 만났다. 김 전 대통령과 토플러 박사는 북핵문제 등 한반도 이슈와 미래사회의 변화상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김 전 대통령은 1980년 내란음모죄로 감옥에 있을 때 이희호 여사가 넣어준 토플러 박사의 ‘제3의 물결’을 읽고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를 알 수 있었다고 한다. 재임 중에 김 전 대통령은 토플러 박사를 청와대로 자주 초청해 정보화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뉴스메이커가 김 전 대통령과 토플러 박사의 대화록을 단독으로 입수해 전문을 싣는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하 김대중) ▒..

앨빈 토플러 협회, 40년뒤 미래 전망보고서 공개 20세기 최고의 미래학자로 평가되는 앨빈 토플러. 올해는 그가 저술한 '미래의 충격' (Future Shock)이 출판된지 꼭 40주년이 되는 해다.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당시 너무나도 생소했던 유전자 복제, 홈스쿨링 등을 언급하며 충격에 빠트렸으며 '권력이동' '디지털혁명' 등 미래의 대변화를 예고한 저서들로 세상에 놀라움을 선사하기도 했다. 토플러 협회(Toffler Associates) 소속 미래학자들이 앨빈 토플러의 저서 '미래의 충격' 출판 40주년을 맞아 '40년 뒤 일어날 40가지'(40 FOR THE NEXT 40)라는 제목의 미래 전망 보고서를 내놨다. 앨빈 토플러는 디지털·통신·사회·기업·기술 등의 혁명에 관한 예리한 전망으로..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 1928년 10월 3일 ~)는 미국 뉴욕 태생의 미국의 작가이자 미래학자로, 디지털 혁명, 통신 혁명, 사회 혁명, 기업 혁명과 기술적 특이성 등에 대한 저작으로 유명하다. 뉴욕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으며 이후에는 미국 중서부 지방에서 5년간 노동자로 산업사회의 대량생산의 현장에서 일해본 경험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한편 그의 아내인 하이디 토플러는 대학시절 언어학을 전공하는 학생일 때 만나게 되었으며 이후 중서부지방에서 토플러가 노동자로 일하는 동안 그녀는 알루미늄 공장에서 일하면서 노동조합의 간사로 일하기도 하였다. 이때 노조의 지원을 받는 신문에서 일하게 되었으며 이후 펜실바이아 데일리지의 워싱턴 지국에서 일하게 되면서 3년 동안 미국 의회와 백악관 출입 ..
지식은 권력의 가장 민주적인 원천이다. 당신에게 전략이 없다면 당신은 타인의 전략의 일부이다. 변화는 단지 삶에 필요한것이 아니다. 변화는 삶 그 자체이다. 생존의 첫번째 룰은 분명하다. 어제의 성공보다 위험한 것은 없다. 변화란 미래가 우리의 삶에 침입하는 과정이다. 한국의 학교들은 학생들이 21세기의 24시간 유연한 작업체제보다는 사라져 가는 산업 체제의 시스템에 알맞도록 짜며진 어긋난 교육시스템을 고수하고 있다. 이윤은 소시지와 같아서 그 안에 무엇이 들어가는지 가장 알지 못하는 사람들로부터 찬탄을 받는다. 다음 대폭발은 유전학과 컴퓨터가 결합하면서 올 것이다. 즉 생물학적 물질들이 반도체와 같이 기능하는 유기 컴퓨터를 말한다. 앞으로의 세계는 지식이 모든 생산수단을 지배하게 되며 이에 대비한 후세..
한국재벌 스스로 헤체길 걸을것 정보화에 기업은 일류 정부는 삼류 아시아 금융시스템 마차에 엔진단 격 바이오 정보산업 한국이 키워내길 풀빵찍듯 하는 학교 국가 경제 망칩니다 시간·공간·지식의 혁명이 한국을 뒤흔든다 한국 학생들은 미래에 필요없는 일 위해 시간낭비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 별세, 소름돋는 명언 재조명…"한국 학생들은 미래에 필요없는 일 위해 시간낭비"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향년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은 29일 앨빈 토플러가 지난 27일 미국 로스엔젤러스의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보도했다. 앨빈 토플러의 정확한 사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60년을 해로한 부인 하이디가 앨빈 토플러의 유일한 유족으로 알려졌다. 앨빈 토플러는 미래 사회상을 예견한 ‘제3의 물결’ 저자로 전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 책에서 앨빈 토플러는 인류가 제1의 물결인 농업혁명, 제2의 물결인 산업혁명을 거쳐 제3의 물결인 정보화혁명으로 가고 있다고 진단해 큰 반향을 이끌어냈다. 앨빈 토플러는 또한 앞으로 펼쳐질 미래사회는 이전과 전혀 다른 사회..
앞으로의 세계는 지식이 모든 생산수단을 지배하게 되며 이에 대비한 후세 교육없이는 어느 나라든 생존하기 어렵다. 미래 사회가 정보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할 때 가장 앞서갈 나라는 최고의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통신 수단을 보유한 나라가 될 것이다. 21세기 문맹인들은 읽고 쓸 줄 모르는 사람들이 아니라 배운것을 잊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없는 사람들이다. 경제적인 부는 지식의 정보 위에서만 가능하다. 지구촌은 강자와 약자 대신 빠른자와 느린자로 구분될 것이고 빠른자는 승리하고 느린자는 패배한다. 한국의 학생들은 하루 15시간동안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 필요하지 않은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 지식은 권력의 가장 민주적인 원천이다. 당신에게 전략이 없다면 당신은 타인의 전략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