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2045년 한국의 사회 전망과 핵심 이슈- Science & technology outlook to 2045[출처] 2045년 한국의 사회 전망 본문
2045년 한국의 사회 전망과 핵심 이슈- Science & technology outlook to 2045[출처] 2045년 한국의 사회 전망
천아1234 2023. 11. 18. 15:38우리나라 어떻게 될까? 다양한 시각에서 예측할 수 있지만, 오직 과학 기술의 측면에서 2045년까지 모습을 살펴보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1987년 KIST 부설기관으로 출범하여 2001년 확대/개편을 거쳐 현재 모습을 갖추었다. 한국의 과학기술 미래예측 및 정책수립 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평가, 예산배분/조정 지원, 예비타당성조사를 주로 다룬다. 금년 8월 2045까지의 전망과 핵심 이슈 심층분석을 다룬 보고서 요약이다. 과학기술 및 인문사회 60여 명 전문가 논의를 거쳐 12개/세부 62개 미래 이슈 도출하여 심층분석 및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비대면의 디지털 세상, 다양한 사회/인구/도시의 변화, 지구 환경변화와 자원 개척, 글로컬 시대, 동북아 정세 변화, 국가의 역할 변화, 신흥 안보와 극단적 쇼크의 위험의 일상화 5축으로 도해와 함께 축약하여 정리했다. JHL












































[출처] 2045년 한국의 사회 전망과 핵심 이슈- Science & technology outlook to 2045|작성자 이자희
“우주왕복 비행기로 서울-뉴욕 2시간”… 정부, 2045년 미래 기술 청사진
과기정통부,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 발표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의 8대 도전과제.
정부가 서울에서 뉴욕까지 2시간 만에 갈 수 있는 유인왕복 비행기 개발을 포함한 2045년 8대 미래 과학기술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제12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를 발표했다.
이 전략은 앞으로 25년 후인 2045년 우리나라의 미래 모습을 실현하기 위해 과학기술의 중장기 목표를 8개 분야별로 설정하고 실행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빠르고 친환경적인 이동수단을 개발해 국민의 생활권을 넓힌다. 항공엔진으로 우주공간을 넘나들며 서울-뉴욕을 2시간 내 주파하는 속도로 움직이는 우주왕복 비행기, 도시간 이동을 위한 하이퍼루프(진공튜브열차) 등을 개발한다. 완전자율주행차, 플라잉카 등도 개발할 계획다.
감염병 원인균 사전 탐지·검출 기술, 초정밀 기상 예측모델, 미세먼지 고효율 포집·제거 기술, 인공지능(AI) 재난로봇 등 팬데믹·기후변화·재난재해 등 국민의 생존을 위협하는 다양한 외부요인에도 대처한다.
△방사능 유출 원천 차단, 제로(0) 플라스틱 사회 실현을 위한 친환경 기술 △초소형 로봇과 줄기세포로 암·뇌질환을 예방·치료하는 의료 △인공장기, 신체 증강로봇, 뇌 모방 AI 등 생체모방 기술 △우주태양광·핵융합 발전 등 에너지 기술 △재사용 우주 발사체(로켓) 등 극지 개척 기술 △3차원(3D) 영상, 양자암호통신 등 정보통신 기술 등도 8대 도전과제에 포함됐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 등 5년 단위의 계획 수립 시 이 전략을 기본 지침으로 활용하고, 내년부터 ‘제6차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실시해 실행 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한국, 2045년엔 일본보다 늙은 나라 된다
우리나라 고령화율(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45년 일본을 추월하고, 2065년에는 일본을 8%포인트가량 웃돌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의 심각한 저출산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여 년 뒤엔 고령화율 세계 1위 일본을 뛰어넘는 ‘나이 든 나라’가 될 것이란 얘기다. 2056년이 되면 우리나라에서 환갑을 넘은 사람이 전체 인구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정책기획위원회 등 대통령 직속 8개 위원회가 30일 개최한 공동 토론회에서 나온 분석이다.

/그래픽=김성규
◇일본보다 빠르게 늙는 한국
서형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2019년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와 일본 내각부의 ‘고령사회백서’ 등을 바탕으로 양국의 고령화율 전망치를 비교 분석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고령화율은 15.7%로, 일본(28.9%)보다 13%포인트 낮았다. 하지만 우리 고령화율은 가파르게 올라 2045년 37.0%로 일본(36.7%)을 넘어서고 이후 일본과의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일본보다 두 배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됐다. 일본은 고령화율이 15.7%(1997년)에서 33.9%(2036년)로 오르는 데 39년 걸렸는데 한국은 20년(2020~2040년)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
2039년 한국과 일본의 중위연령(전체 인구를 나이순으로 나열할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은 모두 54세지만 이후 한국이 일본을 앞질러 2056년에는 한국 60.1세, 일본 55.3세로 격차가 벌어질 전망이다. 중위연령이 60세라는 것은 60세 이상이 인구 중 절반이 넘는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중위 연령은 1980년 21.8세에서 2020년 43.7세로 상승한 상태다. 고령화는 정치 지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권자 중 중위연령은 2020년 48.3세에서 꾸준히 올라 2067년에는 66세로 뛸 전망이다. 지난 대선에서 60대 이상 투표자 비율은 25.5%였지만 2067년에는 59.4%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빠른 고령화의 핵심 원인은 심각한 저출산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여성 한 명당 평균 출생아 수)은 0.84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았다. 일본은 1.36이다. 서형수 부위원장은 “1960~1970년대 OECD 주요국과 비교해 출산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던 한국이 불과 60년 만에 출산율이 가장 낮은 나라가 됐다”며 “이러한 여파는 앞으로 40년 사이에 쓰나미처럼 몰려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청장년층의 부양 부담이 급격히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당 유소년 인구(0~14세)와 고령 인구(65세 이상) 수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작년 38.6에서 2030년에는 53, 2040년에는 77.5로 가파르게 늘어 2070년에는 부양층보다 피부양층이 더 많은 102.8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구 감소로 인한 ‘지방 소멸’도 문제다. 차미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체 시·군·구의 66%는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보다 많아 인구가 자연 감소하는 ‘데드크로스’를 이미 경험했다”고 밝혔다.
◇청년층 “다음 세대 더 불행할 것”
하지만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부 정책에 한계가 있다는 점도 이날 토론회에서 지적됐다. 임신과 출산의 영역이 개인 자율의 영역이라 개입할 폭과 한도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고용·주거 안정 등을 통해 미래에 대한 청년층의 불안을 잠재우지 않으면 저출산 문제가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진단됐다. 인구보건복지협회의 저출산 인식 조사에서 청년층의 35.4%는 ‘다음 세대가 우리 세대보다 불행해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 아이를 낳고 싶지 않은 이유로 24.3%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17.4%가 ‘사회가 아이를 키우기에는 좋지 않다고 생각돼서’를 꼽았다.
서 부위원장은 “가족 지원 정책을 통한 사회 경제적 뒷받침으로 출산 증가 효과가 나도록 해야 한다”며 “고령 사회 대응을 위해 정년·노인연령 기준과 청년·여성 경제활동 참여율을 높여 생산인구층을 늘리고 이들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젊은층·고령층 일자리, 文정부서 사상 첫 역전
청년층(15~29세) 일자리가 감소 추세로 접어든 반면 고령층(60세 이상)은 늘면서, 문재인 정부 출범 무렵인 2017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두 연령층 일자리 수가 사상 처음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이하 상반기 기준) 청년층 일자리는 388만3000명, 고령층은 368만1000명이었다. 하지만 2017년엔 청년층 390만6000명, 고령층 393만3000명으로 역전됐다. 이 둘 사이의 격차는 2019년 58만7000명, 2020년 111만1000명, 올해엔 139만6000명으로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지난 7월1일 오후 경기도 안양시청에서 열린 '청년층 고용을 위한 일자리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취업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이날 오뚜기, 네비웍스, 한스제과 등 23개 구인기업이 참여해 소프트웨어 개발, 설계, 제조, 서비스 등 분야에서 1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2021.07.01./뉴시스
고령층 일자리 증가는 우리 사회의 고령화에 따라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2017년을 기점으로 고령층 일자리 증가율이 통계상 청년층을 압도한 것은 산림 가꾸기와 쓰레기 줍기 등 정부가 세금으로 만든 초단기 노인 일자리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나라 노동 시장의 경직성 때문에 청년층 일자리 창출엔 한계가 있다. 5대 그룹 고위 관계자는 “공기업뿐 아니라 일반 기업에서도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잇따르면서 기업들이 신입 공채를 폐지하고 있다”며 “제조 공정에서 자동화도 빠르게 진행되면서 생산직 신규 채용을 중단한 곳도 많다”고 말했다.

/자료=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 일자리 감소, 고령층 일자리 증가 현상은 현 정부 들어 가속화하고 있다. 이전 박근혜 정부에서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 고령층의 취업자수가 25.8% 증가했고, 청년층 취업자 수도 5.2% 늘었다. 반면 문재인 정부에선 2017년부터 4년 동안 고령층 취업자 수는 32.4% 증가한 반면, 청년층은 2.4% 오히려 줄었다. 청년층이 주로 취업하는 편의점 알바 등 저숙련 일자리가 이 정부가 추진한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전경련 김용춘 고용정책 팀장은 “정규직에 대한 과도한 보호로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은 더욱 어려워지고, 바이오·핀테크 등 신사업 규제 때문에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도 한계가 있다”며 “일자리가 고령층 위주로 증가하는 것은 사회의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고령자 3가구 중 한 가구는 혼자 산다… “건강하다”는 17%뿐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16.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5년에는 20%를 넘어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특히 고령자 가구 3분의 1은 ‘고령1인가구’로 노후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2021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6.5%인 853만 7000명이었다. 고령인구 비중은 2025년에는 20.3%에 이르러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되고, 2036년에는 30.5%, 2060년에는 43.9%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2021년 23.0명, 2036년에는 51명, 2060년에는 91.4명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473만 2000가구로, 이 중 35.1%인 166만 1000가구가 혼자 사는 ‘고령1인 가구’였다. 이중 71.9%가 여성 고령1인가구였다. 2000년 조사 때만 해도 여성 고령1인가구의 비중은 85.3%였는데, 남성 고령1인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은 고령자 1인 가구는 계속 증가하여 2037년에는 현재의 2배 수준인 335만 1000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 주관적 건강평가에 따르면 혼자 사는 고령자 중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7.1%에 불과했다. 혼자 사는 고령자 중 스스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경우도 44.6%에 불과했다. 고령1인가구의 노후 생활이 사회적 문제가 될 것으로 우려가 높다는 의미다.
고령1인가구 증가의 배경엔 ‘황혼이혼’이 있다는 분석이다. 2020년 전체 이혼 건수는 전년 대비 3.9% 감소하였으나, 65세 남자와 여자의 이혼은 각각 11.1%, 13.7% 증가했다. 2000년 1744건에 불과했던 65세 이상 인구 이혼 건수는 2017년 1만310건으로 처음 1만건을 돌파했다. 지난해엔 1만5139건으로 불과 3년만에 46.8%나 급증했다.
[단독] 내년 서울에 ‘드론 택시’ 뜬다...김포공항~여의도, 수서~잠실구간
이달 중순 시험운행 계획 발표
수직 이착륙장 ‘버티포트’도 설치
내년 하반기부터 김포공항~여의도, 수서~잠실 구간에서 하늘을 날아다니는 ‘드론 택시’가 시험 운행을 시작한다. 노선 시점과 종점 4곳에는 수직 이착륙장인 ‘버티포트(vertiport)’를 설치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포함, 2025년까지 도심 항공 교통(UAM·urban air mobility)을 상용화하는 계획을 이달 중순 발표할 것으로 2일 알려졌다.

1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월드IT쇼'를 찾은 관람객들이 SK텔레콤의 도심항공교통(UAM) 체험을 하고 있다./뉴스1
UAM은 드론처럼 기체(機體) 윗부분에 프로펠러를 여럿 단 소형 수직 이착륙기다. 도심 교통 정체를 피해 비행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미국·독일 등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개발에 나섰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등이 구성한 ‘K-UAM팀’은 이달 중순 UAM 노선과 버티포트 입지를 확정해 발표한다. 현재 김포공항~여의도, 수서~잠실 등 두 노선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와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시험 단계라 도심 상공을 바로 비행하기보다 한강을 따라가는 노선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당초 한강을 따라 김포공항~여의도~잠실을 연결하는 노선을 검토했지만,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전하자 비행 금지 구역을 피해 노선을 쪼갠 것으로 알려졌다.

UAM이 수직으로 뜨고 내리는 버티포트는 시험 운행 단계인 만큼 안전 등을 고려해 한강공원 등 빈터에 설치하기로 했다. 향후 서울 시내 공공 건물과 주요 빌딩 옥상 등으로 늘릴 계획이다. 서울시는 비행 금지 구역을 조정해 용산을 포함, 광화문·청량리·양재·사당·신림·연신내·창동 등에도 버티포트를 조성할 방침이다. UAM 터미널 역할을 하는 ‘버티 허브(hub)’는 2026년까지 김포공항에 짓기로 했다. 2030년에는 잠실에도 터미널을 열 계획이다.
K-UAM팀은 5~6명이 탈 수 있는 UAM을 운항할 계획이다. 시속 200~300㎞로 비행해 김포공항에서 여의도까지 3분 정도면 도착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운행 초기에는 요금이 비싸 장기(臟器)나 보석류 운송과 VIP 서비스, 관광 등 부문에서 먼저 쓰일 것”이라며 “응급 환자 이송이나 물류 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여의도에 뜬 2인승 드론택시, 7분간 하늘 두바퀴 비행 성공
11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한강시민공원에서 열린 ‘도심항공교통 실증비행 행사’에서 드론택시가 인근 상공을 날았다.

1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한강공원 물빛무대에서 도시 하늘을 열다라는 부제로 열린 도심항공교통 서울실증 행사에서 중국 이항사의 2인승급 드론택시용기체 이항216이 시범비행을 하고 있다. /뉴시스
11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한강시민공원 일대에서 드론택시가 상공을 날았다. 드론택시가 국내에서 하늘을 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와 이날 ‘도심항공교통 실증비행 행사’를 열어 드론택시 시범 비행을 했다고 밝혔다. 중국 드론 업체인 이항(eHang)사의 기체(EH216)를 서울시가 구입했다. 이항사는 중국 드론 기업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드론 택시 사업에 나서고 있다. 이 드론 택시는 2인승이지만 안전 문제 등을 우려한 국토부 반대로 쌀가마니 20kg짜리 4개를 사람 대신 태웠다.

1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한강공원 물빛무대에서 도시 하늘을 열다라는 부제로 열린 도심항공교통 서울실증 행사에서 중국 이항사의 2인승급 드론택시용기체 이항216이 시범비행을 하고 있다. /뉴시스
드론택시는 약 50m 상공에서 여의도 한강시민공원, 서강대교, 밤섬, 마포대교 일대 1.8km를 약 7분간 두 바퀴 비행했다. 도시 상공을 비행하는 방식으로 시민을 이동시키는 것을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라고 부른다. 인구밀도가 높고 교통 체증이 발생하는 대도시에서 미래 교통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드론택시 시범 비행을 계기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 분야를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11일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물빛무대 주변에서 서울시와 국토교통부 개최로 열린 도심항공교통(UAM) 실증비행 행사에서 취재진과 관계자들이 전시된 드론택시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는 우선 향후 국토부 인증을 거쳐 드론택시를 이르면 2023년부터 소방용 항공기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서울을 비롯한 타 지자체에서 추가로 시범비행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항공분야 대학 및 민간기관과 협의해 이 분야 학위과정도 만든다. 조종·정비 분야 전문인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역량을 쌓고 제도를 준비해 2025년부터는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상용화를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 서울시가 중국에서 구입한 드론 택시를 쓴 것은 아직 국내 업체 가운데는 개발에 성공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 비용은 약 3억원이 들었다. 서울시는 중국 이항사뿐만 아니라 미국 리프트사 드론택시도 함께 시범 비행에 참여시키려 했으나 막판 일부 결함이 발견되어 참여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에 본사가 있는 한 드론회사는 코로나 여파로 참여하지 못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비행에 성공한 드론택시 가운데 중국 제품이 가장 우수해서 구매했다기보다 해외 비행 실적이 있는 업체들 중에 테스트가 가능한 업체를 고른 것”이라며 “상용화 시점을 2025년 목표로 삼았는데 이때까지는 국산 드론택시가 충분히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국내에선 현대차그룹이 2028년까지 8인승 드론택시 기체를 제작해 상용화할 예정이고 한화시스템즈는 미국 ‘오버에어’에 2500만 달러를 투자해 기체를 개발 중이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도심항공 모빌리티는 지상교통의 한계를 해결할 차세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의 가능성도 무궁무진한 만큼 선도적인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서울 하늘에 ‘드론택시’ 떴다…여의도·밤섬·마포대교 비행

드론택시 시범비행에 투입된 기체인 이항216 모습
서울시가 11일 여의도 하늘에 미래 교통수단인 ‘유인용 드론택시’를 띄웠다.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택시 기체가 실제 하늘을 비행하는 것은 국내 최초다.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국토부)는 이날 오전 '도시, 하늘을 열다'라는 부제로 도심항공교통 서울실증 행사를 공동개최하고 드론택시 비행실증에 나섰다.
실증에는 2인승급 드론기체 1대가 투입됐다. 해발 50m 상공에서 여의도 한강공원, 서강대교, 밤섬, 마포대교 일대 1.8㎞를 두 바퀴(총 3.6㎞) 약 7분간 비행했다.
이번 비행실증에 투입되는 기체는 중국 이항사의 2인승급 기체(EH216)다. 드론택시용 기체(electric Vertical Take-off & Landing, eVTOL)는 전기동력(친환경), 분산추진(저소음·안전), 수직이착륙(도심공간활용)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번 실증행사에서는 현대자동차, 한화시스템즈 등 7개 국내·외 업체와 대학 등이 참여해 드론택시용 개발기체 모형 전시도 개최한다.
현대차는 올해 초 CES(세계가전박람회)에서 우버사와 협력해 개발 중인 기체 모형을 전시했다. 또 2028년까지 8인승 드론택시 기체를 제작해 상용화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즈는 미국에서 오버에어사에 2500만 달러(279억 2500만원)를 투자해 기체 개발 중에 있다.
국내업체로는 볼트라인, 드론월드 등이 자체기술로 개발 중인 기체의 비행장면을 원격으로 중계한다. 미국 리프트 에어크래프트사는 1인승급 기체(헥사)를 전시하고 레저·응급구조 등 eVTOL(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 기술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선보인다.
시 관계자는 "국토부가 정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로드맵)의 후속조치로 항공안전법 등 제도적 기반을 정비하고 시가 드론택시 등 인프라를 투입해 유인용 드론택시를 서울 하늘에 띄울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하늘을 이동통로로 활용하는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Urban Air Mobility)는 높은 인구밀도와 고질적 교통 체증으로 지상교통의 한계를 맞은 대도시의 교통난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드론택시 비행실증으로 하늘을 이동통로로 활용하는 도심항공교통 분야에서 서울이 선도하는 계기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또 비행실증에 투입한 드론택시 기체를 활용해 내년엔 서울을 비롯해 타 지자체에서 추가 비행시연을 실시할 예정이다.
시는 항공분야 대학, 민간기관과 업무협약(MOU)를 체결해 UAM 분야 학위과정을 개설하는 등 조종·정비 분야 전문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시는 드론택시 기체를 전문인력 양성에 활용하고 향후 국토부 인증을 거쳐 소방용 항공기로 활용해 UAM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시대를 열어갈 방침이다.
도심항공교통 상용화를 위해서는 민간부문의 기체개발과 발맞춰 정부의 기체안전성 인증, 운항, 관제 등 관련 기술개발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국토부는 이번 서울실증 준비 과정에서 드론택시 기체 안전성 검토기준을 마련하고 인증경험을 축적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앞으로도 로드맵에 따라 국내기업들에게 eVTOL 등 신기술이 적용된 드론택시 기체의 비행기회를 제공하고 상용화를 위한 합리적인 제도를 조속히 마련해 국내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2025년 상용화를 위해 로드맵에서 밝힌 과제를 산학연관 협업으로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드론 택시를 서울에서 대한민국 최초로 선보이게 돼 매우 기쁘다”며 “도심 항공 모빌리티는 지상교통의 한계를 해결할 차세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고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서의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고 강조했다.
하늘나는 관광택시 2025년 제주에 뜬다…이착륙장 3곳 조성 CBS 노컷뉴스
제주공항과 성산항·중문관광단지에 수직 이착륙장 조성
|

17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UAM(도심항공교통) 컨페스타'에 오영훈 제주지사가 참석해 둘러보고 있다. 제주도 제공
국내 첫 관광형 도심항공교통(UAM)이 2025년부터 제주 하늘을 난다. 이를 위해 제주공항과 성산항, 중문관광단지에 수직 이착륙 탑승장이 조성된다.
17일 '2023 제주 국제 UAM·드론 컨페스타'가 열린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한국공항공사는 제주형 UAM 상용화를 위한 버티포트(Vertiport)의 위치와 설계 등 밑그림을 공개했다.
이착륙 탑승장인 버티포트는 수직(vertical)과 공항(airport)의 합성어로 UAM과 같은 수직 이착륙 비행체가 뜨고 내리는 것은 물론 충전과 정비 등을 할 수 있는 시설이다.
공항공사는 제주도내 버티포트 후보지 18곳 가운데 우선 제주공항과 성산항, 중문관광단지 등 3군데에 조성할 계획이다.
제주공항 버티포트는 2만 3000㎡ 규모의 주차장 부지에 지어진다. 대형 이착륙장과 더불어 터미널과 교통관리센터 등의 시설도 함께 건립된다.
한국공항공사 윤기동 차장은 입도객 96%가 이용하는 제주공항은 여행의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제주 UAM의 전략적 요충지라며 제주공항 버티포트는 렌터카와 버스, 승용차, 전기자전거 등 다른 이동수단과도 경계없이 이어지는 새로운 형태의 여행 시설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산 버티포트는 세계자윤유산 성산일출봉이 보이는 성산항 주차장 부근 1만 2000㎡에 조성된다.
UAM을 타고 제주공항을 출발하면 하늘에서 함덕해수욕장을 비롯한 이국적인 모습의 제주 해안과 우도, 성산일출봉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중문 버티포트는 국제적 관광·휴양·회의 시설이 있는 중문관광단지 내 1만 2000㎡에 들어선다.
중문관광단지는 9개의 최고급 호텔과 각종 휴양시설이 들어선 국제적 관광 휴양지여서 관광 UAM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공항공사는 설명했다.
제주도와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SK텔레콤은 올해 도입 단계를 시작으로 내년 고밀도 연구개발 실증과 버티포트 기본계획 수립 등을 거쳐 2025년부터는 관광형 UAM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