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코로나19 (164)
ICT와 미래(ICT and Future) 티스토리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bnMW/btq9tIxebfo/Krtvi0mV7pYmkT4XGKhJkk/img.jpg)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이 11일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영상 캡처. 최근 일주일간 모임이나 약속, 일상생활 공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환자를 우연히 접촉해 감염된 소규모 접촉감염이 전체 확진자 중 약 47%를 차지했다. 감염 경로를 아직 조사중인 이른바 '깜깜이' 사례도 31%로 늘어났다. 델타 변이바이러스(인도 변이)도 전체 변이 검출 사례에서 알파 변이바이러스(영국 변이)보다 수도권에서 약 2배 이상 검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손영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1일 오후 코로나19 관련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주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1주간 하루 평균 국내 확진자수는 992명”이라며 “직전 한 주간 655명에 비해 337..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ADbOE/btq9zE7Y3Pe/WpSiGZ9dcMwVQsizXeIAtk/img.jp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을 서랍에 적어 놓은 실험실의 모습이다. 세계보건기구는 변이 바이러스의 이름이 일반인이 인식하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그리스문자로 부르기로 결정했다. WHO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델타 변이바이러스(인도 변이) 확산이 현실화하고 있다. 최근 일주일 간 국내 코로나19 주요 변이바이러스 확진자 536명 가운데 델타 변이 사례는 374명으로 알파 변이(영국 변이) 162명을 크게 앞지른 것으로 분석됐다. 방대본은 최근 일주일간 확진자 중 16.5%인 1215명의 바이러스 유전체를 대상으로 변이바이러스 감염 사례를 분석했다. 1215명 중 국내 지역발생은 1071명, 해외유입 사례는 144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8O8/btq9sBZCWqC/Q5ORoDxi4QmwxArinTIeAK/img.jpg)
[홍소영 제작] 일러스트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가 700∼800명대로 치솟은 가운데 지역발생과 해외유입 사례 모두 동시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감염'을 뜻하는 지역발생 확진자가 연일 600∼700명대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해외유입 확진자까지 80명대로 급증해 방역당국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세다고 알려진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해외유입 확진자가 증가하면 이 변이의 유입 가능성도 그만큼 커지는 것이어서 국내 델타 변이 확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고조되고 있다. 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해외유입 확진자 수는 8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월 20일 국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vc8g/btq9t7pRuGY/AKpC92ej1ADorrvsqtPTq1/img.jpg)
이에스더 복지팀장의 픽: 델타 변이의 정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275명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다를 기록하며 4차 대유행 위기에 놓인 8일 오전 서울 강남구 강남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길게 줄을 서있다. 뉴스1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하며 4차 대유행에 진입하고 있다. 이번 유행의 중심에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가 자리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국내 델타 변이 점유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8월 중에는 국내 코로나19 유행을 이끄는 우세종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당국의 설명과 해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델타 변이의 정체를 정리해봤다. ①델타 변이 증상은 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MqRx/btq7DrqDOEB/qKzJdd7kWcKHbQFvmk6GgK/img.jpg)
전 세계에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압도적인 정보 순환이 이루어졌지만, 그중 상당수는 잘못된 정보임이 밝혀졌다. 오늘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증상이 무엇인지 식별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현재 급증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증상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 몇 주 동안 뉴스를 통해 들어서 알겠지만,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해당 프로토콜은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에게 즉시 적용된다. 가장 극단적인 경우는 바로 이탈리아다. 이탈리아 정부는 시민들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국경으로부터의 입국과 출국을 금지했다. 물론, 이러한 활동 감소로 인해 경제는 약간의 불황을 겪게 되었으며 실제로 세계적인 위기는 지금처럼 대부분 주식 시장과 통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SdHO/btq7CTnCtsL/rZAZPESkDxyIK5YYiElvs1/img.jpg)
세계적인 전염병이 발생하면 바이러스의 변이에 관한 관심과 우려는 더욱 커지기 마련이다. 바이러스의 변이는 '오류'로 인해 일어난다. 세계적인 전염병이 발생하면, 바이러스의 변이에 관한 관심과 우려는 더욱 커지기 마련이다. 현재 전 세계를 공포에 빠트리고 있는 코로나19(COVID-19)도 코로나바이러스의 변종이다. 바이러스의 변이 현상은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유전에 관한 지식 및 전염병 유행 때 실시된 연구들은 바이러스의 유전적 변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관한 지식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바이러스가 생존과 분열을 위해 유전 정보를 갖고 있다는 사실은 일반적인 상식이다. 인간의 DNA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유전체는 모든 정보를 코드화하여 저장한다. 이 코드화된 정보에는 인간을 어떻게 감염시킬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kXVV/btq7DtaUDt5/OAA0lk1ViOIBfDxfZIpaF1/img.jpg)
독일 연구팀, 스파이크 단백질 '기둥' 부위 유연 구조 밝혀 독일 연구팀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를 자세히 밝혔다. 특히 그 동안 관심이 적던 '기둥'에 해당하는 부위에 관절이 3개 존재해 단백질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EMBL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이 유독 놀라운 전파 능력을 발휘하는 데에는 이 바이러스가 인체세포에 감염될 때 ‘열쇠’ 역할을 하는 바이러스 단백질의 독특하고 유연한 구조가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 단백질의 일부분이 마치 관절을 지닌 것처럼 유연하게 꺾여 인체세포의 목표 단백질과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킨다는 것이다. 바이러스의 침투 전략을 정확히 이해해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할 때 도움이 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T21m/btq7Ee5okuk/0bqoOKd0XghxT9P9lIsBkk/img.jpg)
인간 기도 상피세포에서 배양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붉은색)의 모습이다. 파란색은 상피세포에 달린 섬모들이다. 녹색은 섬모에 달린 점액이다. 노스캐롤라이나대 제공 인간 기도 상피세포에 달린 파란색 섬모 사이사이에 붉은색 물질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붉은 입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다. 감염된 지 나흘 만에 인간 세포 표면을 바이러스가 가득 뒤덮고 있는 모습이 현미경에 포착됐다. 카밀리에 에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소아과 교수 연구팀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감염시킨 기도세포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촬영한 사진을 이달 11일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JM)’에 공개했다. 섬모 사이사이를 확대해보니 상당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VBXx/btq7GA7JRVR/M7rnpMJpqxdnDHfidk5V20/img.jpg)
영국에서 최근 인도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델타형 변이가 확산하는 가운데 영국 정부는 백신 접종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EPA/연합뉴스 제공 인도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인 델타형 변이가 영국에서 처음으로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다는 영국 보건 당국의 조사 보고서가 나왔다. 그간 영국에서는 지난해 9월 켄트 지역에서 처음 확인된 영국 변이 바이러스인 알파형 변이가 확산의 주요 요인이었지만 이번에 알파형 변이를 제치고 델타형 변이가 급속히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는 최근 중국 광저우에서도 급속히 퍼지면서 도시가 봉쇄되는 등 각국에서 코로나19 방역의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oLEX/btq7DVE22z7/3KKVRU1p2ZlQhPL2mlJFBK/img.webp)
댓글 신종 코로나 사태 WHO "신종 코로나 델타 변이, 74개국서 확인" 2021.6.10 2:00 오전 9일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인도에서 처음 확인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인 델타형 변이가 전 세계 74개국에서 확인됐다고 세계보건기구 WHO가 밝혔습니다. WHO는 어제(8일) 발표한 '코로나 19 주간 상황보고서'에서 이런 수치는 전 주보다 12개 나라가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WHO는 지난달 31일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인도에서 처음 확인된 4개 종류의 변이 바이러스를 각각 그리스 문자인 알파, 베타, 감마, 델타로 명명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는 높은 전염율을 보이고 있는 델타형 변이가 미국 내에서 ..